2025. 5. 23. 22:36ㆍ공부 및 지식
CISG 14조 청약의 기준
A proposal for concluding a contract addressed to one or more specific persons constitutes an offer
if it issufficiently definite and indicates the intention of the offeror to be bound in case of acceptance.
A proposal is sufficiently definite if it indicates the goods and expressly or implicaitly fixes or makes provision for determining the quantity and the price
*address :보내다
*constituties an offer 청약을 구성한다
* 기본적인 청약 조건: goods, quantity, and the price
- Offer sheet: 청약서
- 매도청약 Selling Offer시에 Proforma Invoice
- 매수청약 Buying Offer 시에 P/O Purchase order 등 빈번하게 사용됨
*매도인(수출자)
*매수인(수입자)
CISG 15조 청약의 효력발생
An offer becomes effective when it reaches the offeree.
청약은 상대방에게 도달한 때에 효력이 발생한다
*offeree 피청약자(청약받는사람)
*청약은 피청약자에게 도달한 때로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청약의 유효기간이란 청약의 효력이 존속하는 기간을 말하며,
청약의 유효기간 내에 승낙이 있어야 계약이 성립한다
- 청약에 유효기간이 명시된 경우 : 그 명시된 기간
- 그 외의 경우: 청약이 있은 때로부터 합리적인 기간, 상당한 기간 (within an reasonable time)
CISG 15조 청약의 효력발생
An offer, even if it is irrevocable, may be withdrawn if the withdrawal reaches the offeree before or at the same time as the offer
청약은 취소 불능이더라도, 철회(withdrawl)의 의사표시가 청약의 도달 전 또는 그와 동시에 상대방에게 도달하는 경우에는 철회될 수 있다.
* 철회란 어떤 의사표시의 효력이 발생하기 이전에 자신의 의사표시를 다시 거두어들이는 것을 말한다
* 청약이 상대방에게 도달하여 청약의 효력이 발생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다.
다만, 철회의 의사표시가 청약의 도달 전 또는 청약과 동시에 피청약자에게 도달하는 경우 청약을 철회할 수 있다.